증도가자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한국어
  • 중국어
  • 영어

증도가자란?

증도가(證道歌),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증도가자(證道歌字)란?
 

1. 증도가, 證道歌 

 

<정 의>

증도가(證道歌)는 말 그대로 깨달음의 노래로서, 당나라 승려 현각(玄覺, 665713)의 오도송(悟道頌)을 인쇄한 책이다.

여기서 증()이란? 구경(究竟)을 체득(體得)함을 말한다.

    

<특 징>

 현각은 천태(天台)를 공부하였으며, 남종선의 시조인 6조 혜능(慧能)에게서 선요(禪要)를 듣고 하룻밤에 증오(證悟)를 얻은 저자가 그 대오의 심경에서 증도의 요지를 247814자의 고시체로 읊은 시편이다.

 증도가는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해서 부처님으로부터 달마스님까지 달마스님에서 육조스님까지, 그리하여 오가칠종(五家七宗)으로 내려온 정안종사(正眼宗師)의 증오처(悟處)를 표방하고 있다.

 찬술연대는 705년경으로 유려한 문체일 뿐 아니라 선의 진수를 기술한 것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널리 독송 ·해설되어 왔다. 진단성자대승결의경(震旦聖者大乘決疑經)이라는 이름으로 인도에 전해졌다고 하지만 명확하지 않다. 둔황[敦煌]에서 출토된 문헌에 증도가와 내용이 같은 선문비요결(禪門秘要訣)이 있다.



 

2. 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정 의>

 1239(고종 26) 주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번각, 인출한 책으로, 1076(문종 30)에 남명선사가 편찬을 마치고 주자(鑄字, 금속활자)로 인쇄하였으나 주자본이 희귀하게 되자, 1239(고종 26) 집권자인 최이(崔怡)[초명은 최우(崔瑀)]가 공인(工人)을 뽑아서 주자본을 그대로 목판에 복각하여, 인쇄만 한 것이다.

    

<편찬 및 발간 경위>

 보물 제758-1. 이 책은 당나라의 현각(玄覺)이 지은 증도가의 각 구절 끝에 송나라의 남명선사(南明禪師) 법천(法泉)73구씩 총 320편을 읊어 붙여 증도의 깊은 뜻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힌 책이다.

 법천의 호는 불혜(佛慧), 속성은 시씨(時氏)이다. 용거산(龍居山)의 지문원(智門院) 신기선사(信玘禪師)에 출가하여 운거(雲居)의 효순선사(曉舜禪師)로 법사(法嗣)하고, 대명(大明)천경(千境)영암(靈巖)남명(南明) 및 금릉(金陵)의 장산법천원(蔣山法泉院)으로 옮기며 수도하다가, 대상국(大相國)의 지해선사(知海禪寺)에서 종사(宗師)가 되었다.

 이 책은 천경산에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책머리에 1077(문종 31)에 오용천용(吳庸天用)이 지은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1076년에 축황(祝況)이 이 책의 판각에 즈음하여 붙인 후서(後序)가 있으며, 그 다음에 고려 때 주자본(鑄字本, 금속활자본)을 중조(重彫)한 기록이 붙어 있다.

 이 기록은 1239년 최이(崔怡)[초명은 최우(崔瑀)]가 쓴 것으로, 증도가는 선문에 있어서 매우 긴요한 책이며 참선하는 이들이 모두 그것에 의하여 깊은 이치를 깨닫고 있는데, 그 전래가 끊어져 통행되고 있지 않아, 공인을 모집하여 주자본을 거듭 새겨냄으로써 오래 전할 수 있게 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서지적 사항>

 1. 목판본. 이 주자번각본은 김종규(金宗圭) 소유로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다. 1984530일 보물 제758호로 지정되었다.

    

<내 용>

 이 책은 주자본을 번각(飜刻)으로 거듭 새겨냈기 때문에 책 전체에 걸쳐 칼자국이 나타나고 또한 후쇄(後刷)하여 나뭇결이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새김이 매우 정교하여 바탕이 된 주자본의 특징을 능히 파악할 수 있다.

 

그 두드러진 것으로는

글줄이 곧바르지 않고 좌우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여 삐뚤삐뚤하다.

글줄에서 글자가 유달리 옆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거나 쏠린 것이 비교적 많이 나타난다.

글줄에서 글자의 아래 획과 위 획이 서로 닿거나 엇물린 것이 없다

한 판의 동일한 글자에 꼭 같은 꼴과 크기의 것이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글자 모양은 비교적 정연한 편이다.

 

 위에서 든 특징 중 ①②③은 번각의 바탕책이 주자본임을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는 활자의 주조법이 조선 시대의 관주활자(官鑄活字)처럼 활자의 모양과 크기를 똑같이 다량 생산하는 주물사(鑄物沙) 이용의 주조방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재래의 전통적인 밀랍 이용의 주조법에 의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이다.(주물사 밀립 이용 주조법 관련 異見 존재, 후술 예정)

 이 바탕이 된 주자본은 그 인출이 무신 정권이 강화로 천도하기 이전인 13세기 전기에 개경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니, 초기의 주자인쇄 사례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막중하게 평가된다.

 따라서 이 책은 비록 목판본이기는 하나, 이제까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주자본)으로 추정되는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1234년 간행)보다 훨씬 앞서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주자본을 목판에 활자체 그대로 복각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금속활자 사용연대를 앞당겨주는 산 증거가 된다.

 

 

 3. <證道歌字>

 201091일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남권희 교수가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1377)보다 138,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1455)에 비해서는 무려 216년 이상 앞선다는 '증도가자(證道歌字)’ 12점을 언론에 발표하면서 세상에 모습이 드러났다.

 증도가자는 증도가證道歌 + 이며, 불교시편인 증도가(證道歌)를 새겼던 금속 활자체를 말한다.

 

 <문헌상 근거>

 남 교수는 무엇보다 고려 고종 26(1239)에 목판본으로 찍어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보물758)를 주목한다.

 '증도가' 끝 부분에는 '이 책의 원본은 남명선사가 문종 30(1076)에 주자(鑄字, 금속활자)로 편찬했지만 더 전해지지 않아 목판으로 복각해 찍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직지보다 앞선 금속활자가 있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고려 말의 유학자 이규보가 쓴 동국이상국집에도 1234년에 금속활자로 고금상정예문’ 20부를 간행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번에 발견된 활자 12점이 이 금속활자본 '중도가'를 찍는 데 쓰였다는 게 남 교수의 설명이다. 그가 활자의 이름을 '증도가자(證道歌字)'라고 붙인 것도 그 때문이다.

 

<과학적 근거>

 

 남 교수는 이 '증도가자'를 목판본 '증도가'와 비교해볼 때 글자 모양이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번에 발견된 명()()()()()()()()()()()() 12자를 목판본 '증도가'에서 찾아보면 같은 모양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특히 '()' 자는 지금의 글자와는 다른 옛 글씨(古字)로 쓰였는데 육안으로 보면 그 모습도 일치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보통 한번 나온 책을 목판본으로 다시 제작하는 '번각본(飜刻本)'은 기존의 책을 뜯어 각 페이지()를 목판에 붙인 다음, 그 글씨를 그대로 새기는 방법을 택하기 때문에 글씨체까지도 원본과 대부분 일치한다.

 남 교수의 설명대로라면 현전하는 목판본 '증도가''증도가자'로 찍은 금속활자본 책을 뜯어내 목판에 새긴 판본이 된다.

 남 교수는 이 '증도가자'13세기께 주조 및 사용된 것이며 밀랍 주조 방식을 택한 '직지심체요절'의 흥덕사자(興德寺字)와 달리 주물사 주조방식을 택해 만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또 '직지'를 찍은 활자인 흥덕사자가 지방에서 만든 활자인 반면, 증도가자는 중앙에서 주조사용된 것이므로 고려시대의 주조기술과 조판 및 인쇄술을 조선시대와 비교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언론 반응>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발문(跋文) 및 <동국이상국집> 기록 등 옛 문헌의 역사적 기록으로만 존재하던 금속활자의 실문 공개는 당시 서지학계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커다란 화제를 일으켰으며, 대다수 언론들은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 주조시기를 앞당기는 민족적 쾌거라며 <증도가자>를 발표한 남권희 교수의 연구성과 및 앞으로의 과제 등을 분석 보도하였다.

​ <연합뉴스>는 기사를 통해 "<증도가자>가 세계 최고로 공인받기 위해서는 국내외 관련 학계의 교차 검증과 비판을 거쳐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반응을 보이며, "이번 발표를 계기로 이들 금속활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하기를 바란다"는 다보성고미술의 멘트를 첨언하였다.​ 


  (2010.9.1, 연합) "직지보다 앞선 세계 最古 금속활자 발견" / (taeshik@yna.co.kr)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4634907

 

     (2010.9.1., 연합뉴스) 증도가, '직지'보다 훨씬 앞선 근거는 / (comma@yna.co.kr)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4634892

 

     (2010.9.2, 노컷뉴스) 직지보다 빠른 세계 最古 금속활자 증도가자발견 / (CBS 이전호 문화체육부장)

     https://www.nocutnews.co.kr/news/750244

 

     (2010.9.2, 세계일보) ‘세계 最古 인쇄술역사 바뀌나(박종현 기자)

     http://www.segye.com/newsView/20100901005326

 

     (201.9.1., 경향신문) “세계 最古 금속활자 발견 (도재기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9011941045&code=960201

 

 하지만, 일부 언론사는 발표 초기부터 '개인 소장품' , '출처 불명' , '검증 거치지 않은 성급한 발표'라며 <증도가자>의 가치를 폄훼하며,  기존 세계 最古로 공인된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에 대한 가치 하락 등을 우려한 기사를 내보냈다.

특히, 일부 언론사는 특정지역 교수 및 언론인 <증도가자>가 가짜라는 내용의 연구 발표 등의 기사를 인용하며,  <직지심체요절>이 지역 상징인 청주시가 곤혹스러워 한다는 반응까지 곁들여 보도하였다.  

 

  (2010.9.2, 동아일보) 국내 最古고려금속활자 발견? (강은지 기자)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902/30910507/1

 

     (2010.9.17, 동아일보) [로비에서]진위논란만 부른 설익은 最古금속활자 발표’ (강은지 기자)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917/31258981/1

 

     (2010.9.1, 뉴시스) 증도가자, 직지보다 138년 앞선 근거청주 '비상' (이재훈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3415007

 

     (2010.9.1, 뉴시스) 청주시, 최고(最古) 금속활자 공개에 촉각 (장정삼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3415110

 

     (2010.10.24, 뉴시스) [Newsis Focus]이상주 중원대 교수, '증도가자' 2차 반론 / (강신욱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500685

 

     (2010.9.1, 충청일보) '직지금속활자'에 신중·곤혹, 청주시 "구체적으로 확인 할 필요있다" /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258

 

     (2010.9.2, 충청일보) [긴급논단]직지의 세계적 가치는 바뀌지 않는다, 이 재 준 (전 본지 편집국장·전 충북도문화재위원) /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