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2020.04.14) 철불좌상·백자항아리…봄날에 만나는 '세월의 향기' > NEW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한국어
  • 중국어
  • 영어

NEWS

(아주경제, 2020.04.14) 철불좌상·백자항아리…봄날에 만나는 '세월의 향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다보성갤러리 댓글 0건 조회 1,695회 작성일 20-04-15 10:56

본문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2020 고미술특별전 ‘봄·옛 향기에 취하다’ 전경. [사진=전성민 기자 ] 


“여보, 이리 와서 이것 좀 보세요.” 


마음에 드는 고(古)미술 작품을 찾은 남편이 아내를 불렀다. 노부부는 한참을 작품 앞에 서서 알콩달콩 이야기를 나눴다. 옛 작품은 자연스럽게 옛 추억을 떠올리게 했다. 미술 작품을 보며 대화를 나누는 노부부는 즐거워보였다. 세월이 담겨 있는 그들의 미소는 아름다웠다.

세월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것이 있다. 고미술도 그중 하나다. 다보성갤러리는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 1층과 2층에서 2020 고미술특별전 '봄·옛 향기에 취하다'를 이달 29일까지 연다.  


1983년 개관한 다보성갤러리는 37년간 한 우물만 파온 국내를 대표하는 고미술 갤러리다. 2020년에도 특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경술국치(庚戌國恥) 110년, 광복 75주년을 맞이해 우리나라 문화의 가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풀어낸 특별전을 열었다. 금속 유물과 도자기 300여점, 서화 70여점, 고가구와 민속품 120여점 등 약 500점이 두루 전시됐다.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다채로운 문화유산으로 꾸며진 국내에서 보기 힘든 대규모 전시다. 

특별전 전시장에 들어서면 마치 박물관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접한 듯한 유물과 작품이 많아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1층에서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작품은 '백자철화운룡문호(白瓷鐵畵雲龍紋壺)'다. 17세기 경기도 광주시 지월리 관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다. 용의 머리 부분이 달마의 모습처럼 해학적으로 표현된 점이 매우 흥미롭다. 구름 속 여의주를 집어삼키려는 용의 역동적인 움직임도 퍽 인상적이다. 


‘백자청화운룡문호(白瓷靑畵雲龍紋壺)’ [사진=다보성갤러리 제공] 

안쪽에는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110cm의 '철불좌상(鐵佛坐像)'이 앉아있다. 불상은 시기에 따라 사용된 재료가 달라진다. 철불은 통일신라 말부터 제작되기 시작해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했다. 철불은 청동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시기에 지방 호족들이 비교적 규모가 큰 불상을 만드는 데 사용됐다.

다보성갤러리 관계자는 "이 불상은 통일신라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 전체에서 풍기는 인상과 주조기술, 조각기법 등에서 철불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불좌상(鐵佛坐像)’ [사진=다보성갤러리 제공]


조선전기에 만들어진 '분청자상감인면문매병(粉靑瓷象嵌人面紋梅甁)'은 특이하게도 사람 얼굴(인면)을 문양으로 넣었다. 인면을 넣은 도자기는 흔치 않아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13세기에 전남 강진에서 만든 것으로 짐작되는 '청자여래좌상(靑瓷如來坐像)'은 은은한 표면이 매우 인상적인 작품이다. 개성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청자여래좌상(靑瓷如來坐像)’ [사진=다보성갤러리 제공]

서화로는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책가도 8폭 병풍(冊架圖 八幅屛風)'이 눈에 띈다. 다시점(多視點)을 채택한 다른 책가도와 달리 중앙에 초점을 두고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투시 기법을 적용해 그렸다.

갤러리 관계자는 "여섯 번째 폭에 그려진 물고기 조각은 거처에 머무는 귀한 것들을 지키기 위한 용도로 그린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며 "우리 조상들은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가 재물을 보호해주는 힘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귀띔했다.


‘책가도 8폭 병풍(冊架圖 八幅屛風)’ [사진=다보성갤러리 제공]


 


목기 중에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던 '궁중주칠삼층책장(宮中朱漆三層冊欌)'이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삼층책장으로 손상된 부분이 전혀 없고 조각부분이 정교하다.

이외에도 교자상과 주칠삼층책장, 나전대모상을 비롯한 공중 고가구를 비롯해 서류함·나주반 등 옛 일상 가구들이 전시돼 있다.


‘궁중주칠삼층책장(宮中朱漆三層冊欌)’ [사진=다보성갤러리 제공]


김종춘 다보성갤러리 대표는 "궁중 문화재뿐만 아니라 선비들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고서화와 자기들, 민중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는 목기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고 소개했다.


김 대표는 "전시 수익금 중 일부는 코로나19 피해 지역의 의료지원을 위해 기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 원본 : https://www.ajunews.com/view/20200413102540757